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반도체 산업이 산업적으로, 정치적으로도 중요해지면서 반도체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TOP 50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투자 아이디어를 얻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TOP 10 (2022년 4월 4일 기준)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1위는 GPU의 강자 엔비디아가 차지하였습니다.
엔비디아의 이번 시가총액은 6818.1억 달러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주가는 273.60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엔비디아의 경우 현재 GPU뿐만이 아니라 자율주행, 메타버스등의 산업으로의 비즈니스 확장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으며, 이에 주가 역시도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까 하고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2위는 대만의 TSMC가 차지하였습니다.
TSMC의 이번 시가총액은 5435.1억 달러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주가는 104.79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TSMC의 경우 파운드리 산업에서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파운드리 산업이 반도체 산업내에서 가지는 중요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생각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적으로 TSMC의 공장을 유치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는 만큼 TSMC가 가진 영향력은 앞으로도 지속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3위는 한국의 삼성전자가 차지하였습니다.
삼성전자의 이번 시가총액은 3875.8억 달러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최근 주가는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메모리 반도체 1위, 파운드리 산업 2위, 이미지 센서 3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4위는 네덜란드의 ASML이 차지 하였습니다.
ASML의 이번 시가총액은 2745.4억 달러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주가는 680.83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ASML의 경우 극 자외선 EUV 노광장비를 독점적으로 개발하는 만큼 향후 파운드리 산업과 함께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는 기업입니다. 또한 특유의 독점성을 가지고 있으며, 극 자외선 EUV 노광장비가 선단 공정에 필수적인 만큼 향후 지속적인 주가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5위는 미국의 브로드컴이 차지하였습니다.
브로드컴의 시가총액은 2591.9억 달러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주가는 634.85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6위는 미국의 인텔이 차지하였습니다.
인텔의 시가총액은 2011.6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가는 49.20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텔의 경우 미국 정부의 지원을 전폭적으로 받고 있는 기업으로 향후 파운드리 산업, CPU, 자율주행등의 산업에서 강점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7위는 미국의 AMD가 차지하였습니다.
AMD의 시가총액은 1799.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가는 110.53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AMD는 현재 인텔과 함께 CPU 시장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GPU 시장으로 비즈니스를 확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쟁쟁한 경쟁자들이 있기 때문에 좋은 성과를 수치로 보여주기 위해서는 시간이 조금은 더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8위는 퀄컴이 차지하였습니다.
퀄컴의 시가총액은 1733.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가는 153.81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퀄컴의 사업중 스마트폰 AP사업의 경우 현재 대만의 미디어텍에 점유율 면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긱벤치에 따르면 대만의 미디어텍의 제품에 성능면에서도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메타버스, 자율주행 사업을 통해 비즈니스를 확대하는 만큼 향후 어떤 모습을 보여주게 될지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9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텍사스 인스트루 먼트의 시가총액은 1687.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가는 182.71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집중하는 아날로그 반도체 사업의 경우 코로나 19 이후 공급난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실적이 상당히 좋아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독점력 역시도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10위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의 시가총액은 1143.4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가는 129.44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어플라이드 머트리얼즈는 반도체 장비 회사로 현재 파운드리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반도체 기업들이 증설하고 있는 만큼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의 실적 역시도 개선을 보여주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반도체 기업 시가총액 순위 1위 ~ 50위
순위 | 기업명 | 시가총액 | 주가 | 국적 |
1 | 엔비디아 | 6818.1억 달러 | 273.6달러 | 미국 |
2 | TSMC | 5435.1억 달러 | 104.79달러 | 대만 |
3 | 삼성전자 | 3875.8억 달러 | 한국 | |
4 | ASML | 2745.4억 달러 | 680.83달러 | 네덜란드 |
5 | 브로드컴 | 2591.9억 달러 | 634.85달러 | 미국 |
6 | 인텔 | 2011.6억 달러 | 49.2달러 | 미국 |
7 | AMD | 1799.4억 달러 | 110.53달러 | 미국 |
8 | 퀄컴 | 1733.4억 달러 | 153.81달러 | 미국 |
9 |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1687.4억 달러 | 182.71달러 | 미국 |
10 | 어플라이드 머터리얼즈 | 1143.4억 달러 | 129.44달러 | 미국 |
11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 867.3억 달러 | 77.67달러 | 미국 |
12 | 아날로그 디바이스 | 860.8억 달러 | 164.5달러 | 미국 |
13 | 도쿄 일렉트론 | 773억 달러 | 일본 | |
14 | 램 리서치 | 747억 달러 | 535.55달러 | 미국 |
15 | SK하이닉스 | 660.6억 달러 | 한국 | |
16 | 마벨 | 618.5억 달러 | 72.96달러 | 미국 |
17 | KLA | 553.1억 달러 | 367.05달러 | 미국 |
18 | 시놉시스 | 520.7억 달러 | 340.15달러 | 미국 |
19 | 미디어텍 | 500.4억 달러 | 대만 | |
20 | NXP 세미컨덕터 | 479.4억 달러 | 네덜란드 | |
21 | 인피니온 | 430.1억 달러 | 독일 | |
22 |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 413.5억 달러 | 74.38달러 | 미국 |
23 | ST마이크로 | 386.3억 달러 | 스위스 | |
24 | 글로벌 파운드리 | 331.2억 달러 | 622.9달러 | 미국 |
25 | SMIC | 259.1억 달러 | 중국 | |
26 | 온 세미 컨덕터 | 257.7억 달러 | 59.59달러 | 미국 |
27 | 유나이티드마이크로 일렉트로닉(UMC) | 237.8억 달러 | 대만 | |
28 |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 229.6억 달러 | 일본 | |
29 | 스카이웍스 솔루션 | 217억 달러 | 134.28달러 | 미국 |
30 | ASM 인터네셔널 | 182.6억 달러 | 네덜란드 | |
31 | 인테그리스 | 169.1억 달러 | 124.5달러 | 미국 |
32 | ASE 그룹 | 157.9억 달러 | 대만 | |
33 | 레이저텍 | 151.3억 달러 | 일본 | |
34 | 울프 스피드 | 141.7억 달러 | 114.72달러 | 미국 |
35 | 코보 | 133.9억 달러 | 123.49달러 | 미국 |
36 | AMEC | 113.5억 달러 | 중국 | |
37 | 실러지 | 109.6억 달러 | 중국 | |
38 | 글로벌 웨이퍼스 | 102.6억 달러 | 대만 | |
39 | 디스코 코퍼레이션 | 98억 달러 | 일본 | |
40 | 노바텍 | 90.9억 달러 | 대만 | |
41 | 레티스 세미컨덕터 | 82.3억 달러 | 59.84달러 | 미국 |
42 | 로옴 | 76억달러 | 일본 | |
43 | 난야 테크놀로지 | 74.8억 달러 | 대만 | |
44 | 리얼텍 | 74.7억 달러 | 대만 | |
45 | BE 세미컨덕터 | 68.2억 달러 | 네덜란드 | |
46 | 소이텍 | 65.8억 달러 | 프랑스 | |
47 | 알레그로 마이크로 시스템즈 | 53.6억 달러 | 188.78달러 | 미국 |
48 | 파워 인테그레이션 | 53.6억 달러 | 91.02달러 | 미국 |
49 | Si Time | 51.7억 달러 | 248.7달러 | 미국 |
50 | 노르딕 세미컨덕터 | 47.6억 달러 | 노르웨이 |
지금까지 2022년 4월 4일 기준 글로벌 반도체 순위 TOP 50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4월 1일 기준 미국 시가총액 순위 TOP 100 (0) | 2022.04.04 |
---|---|
2022년 4월 1일 기준 한국 기업 시가총액 순위 (쿠팡 포함) (0) | 2022.04.03 |
2022년 4월 1일 기준 전 세계 시가총액순위 (0) | 2022.04.03 |
2022년 3월 5일 기준 미국기업 시가총액 순위 TOP100 (0) | 2022.03.07 |
2022년 3월 5일 기준 전 세계 테크기업 시가총액 순위 TOP100 (0) | 2022.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