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공부

2022년 메모리 반도체 1월 고정거래 가격

by 돌담아빠 2022. 1.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돌담아빠입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볼 내용은 메모리 반도체인 디램과 낸드플래시의 2022년 1월 기준 고정가격(B2B시장 가격)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메모리 반도체 업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 가격과 현물거래 가격이란?


흔히 우리가 부르는 메모리 반도체 현물가의 뜻은 주로 중소 IT업체나 PC부품 도매상이 메모리 반도체를 거래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메모리 반도체의 고정거래가의 뜻은 글로벌 주요 업체인 대형 IT기업인 애플, 구글, HP,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등의 업체들과의 메모리 반도체 거래를 하는것으로 소량으로 계약하는 방식이 아니라 대규모로 계약하는것이 특징입니다. 보통 계약은 대규모로 하기 때문에 분기별로 계약하는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D램 출하액 비중은 서버용 반도체가 약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모바일용 D램이 40%, 현물가의 비중이 10%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업황에 따라서 비중은 소폭 변경될수 있습니다.)
  • AI반도체, 메타버스, 자율주행등의 새로운 산업의 등장으로 서버용 반도체의 비중은 더욱 높아질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 AR글래스, VR글래스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증가로 모바일용 D램의 비중 역시 증가할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기준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 가격


2022년 1월 28일 기준 디램의 고정거래 가격이 조금은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의 전망인 두자리수 하락보다는 적은 낙폭을 보여주며 어느 정도의 수요를 확보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낸드플래시는 작년 12월과 동일한 가격을 보여주며 견조한 수요를 보여주고 있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디램익스체인지의 집계에 따르면 2022년 1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PC용 디램(1월 28일 기준) DDR4 8Gb의 고정거래 가격은 평균 3.41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달 대비 8.09%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낸드플래시(MLC128Gb)의 경우 (12월 30일 기준가) 4.81달러를 기록하며 전달과 동일한 가격을 보여주었습니다.

  • 디램의 경우 마이크론의 중국공장 중단으로 인한 여파로 가격이 전망보다는 좋은 모습을 보여준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낸드플래시의 경우 삼성전자의 중국공장이 중단으로 인하여 전달과 동일한 가격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기준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 가격


디램익스체인지의 집계에 따르면 2021년 12월 기준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 가격은 전 달(2021년 11월)과 동일한 가격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12월 기준 PC용 D램인 DDR4 8Gb의 고정거래 가격은 평균 3.71달러를 기록하며 전달과 동일한 고정거래 가격을 보여주었습니다.

12월 기준 낸드플래시 범용제품인 MLC128Gb의 고정거래 가격은 4.81달러를 기록하며 전달과 동일한 고정거래 가격을 보여주었습니다.

지금까지 2022년 1월 기준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 가격(디램 고정거래가격, 낸드플래시 고정거래가격)과 2021년 12월 기준 메모리 반도체 고정거래 가격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