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기업분석

반도체 후공정 장비 관련주 한미반도체 기업분석과 전망

by 돌담아빠 2022. 2. 17.
반응형

한미 반도체는 반도체 후공정에 해당하는 제조용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향후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에서의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게 되며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한미 반도체의 기업분석과 향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목차

1. 한미반도체 기업분석
2. 한미반도체 주가 분석
3. 한미반도체 재무분석
4. 한미반도체 전망

1. 한미반도체 기업분석

한미반도체는 1980년 반도체 제조용 장비를 개발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독자기술을 확보하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한미반도체는 전 세계 320여 개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후공정 장비기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 

2022년 1월 6일 (현지 시간) 반도체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VLSI리서치에 따르면 올해(2022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 규모는 1243억 달러(한화 약 149.5조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반도체 장비 시장은 반도체 공급난과 향후 4차 산업으로 인해 반도체 시장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은 2019년 626억 달러(한화 약 74조 7,945억 원)를 기록하였으며, 2020년에는 736억 달러(한화 약 87조 8,857억 원)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2021년에는 전년 대비 38.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1,000억 달러(한화 약 119조 4,800억 원)를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VLSI리서치의 전망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은 전년 대비 22%가 성장한 1243억 달러(한화 약 148조 5,136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반도체 장비에 대한 서비스 금액까지 합산한 경우에는 총 1500억 달러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분야 별로 살펴보게 되면 전공정 장비 시장의 올해 시장규모는 지난해 대비 22.8%가 성장한 1,079억 달러(한화 약 128조 9,081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후공정 장비 시장의 올해 시장규모는 테스트 장비 시장이 전년대비 19.2%가 성장한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 9,490억 원), 패키징 장비 시장이 전년대비 14.1%가 성장한 64억 달러(한화 약 7조 6,474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장비 기업 순위 TOP5 (매출액 기준)

2021년 2분기 기준 글로벌 장비 기업의 순위(매출액 기준)를 살펴보게 되면 1위는 미국의 어플라이 머티리얼즈가 차지하였으며, 2위는 네덜란드의 ASML, 3위는 미국의 램 리서치, 4위는 일본의 TEL, 5위는 미국의 KLA가 차지하며 미국이 강력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1년 2분기 기준 글로벌 장비기업 순위                                (단위 억원)
순위 기업명 2021년 2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국가
1위 AMAT(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73,000 23,800 32.5% 미국
2위 ASML 54.000 16,800 30.8% 네덜란드
3위 램리서치 48,900 15,700 31.7% 미국
4위 TEL 45,200 7,450 15.3% 일본
5위 KLA 22,700 7,471 32.9% 미국

 

국내 후공정 장비 기업

이오테크닉스, 한미반도체, 와이아이케이, 엑시콘, 디아이, 인터플렉스, 제너셈, 유니테스트 등이 있습니다. 

 

한미 반도체 역사 
  • 1980년 곽노권 회장으로 인하여 설립
  • 1985년 오토 프레임 로더를 개발
  • 1989년 세계 최초 PLCC금형을 개발
  • 1993년 Reelto Reel Type Automatic Molding System을 개발
  • 1994년 Cam Press 개발
  • 1995년 HANMI Auto Mold System 개발
  • 1998년 VISION PLACEMENT 장비 최초 개발
  • 2003년 Tray Vision Inspection System 개발
  • 2005년 코스피 증권 상장
  • 2021년 국내 최초 패키지 절단용 micro SAW 장비 론칭
한미 반도체 매출 비중
  • 반도체 제조용 장비 88.8%
  • Conversion Kit, Mold 11.2%
  • 지역별 매출 비중은 대만이 34%, 중국이 29%, 한국이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말레이시아가 4%, 미국이 4%, 필리핀이 3%, 멕시코가 2%, 기타가 4%를 차지하고 있어 매출처가 다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의 매출 비중은 VISION PLACEMENT가 50% 이상, EMI Shield가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객

국내의 경우  SK하이닉스, 삼성전기, 삼성전자, SFA반도체, 시그네틱스, 네패스 등이 있으며, 해외의 경우 ASE, AmKor, 인피니온, ST마이크론, SPIL, PTI. Skyworks등과 중국의 JCET, Huatioan Technology, Nanton Fujitsu, 베이징 옌동(BYD)등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핵심 장비 

한미반도체의 장비는 상당한 수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주력 장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비전 플레이스먼트(VISION PLACEMENT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필수적 장비로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장비로 반도체 패키지 절단, 세척, 건조, 검사, 선별과 적재까지 일괄 처리하는 제조용 필수 장비로 경쟁사 대비 탁원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 EMI 실드(전자기파 차폐)는 반도체 차폐 공정을 수행하는 장비로 애플, 퀄컴, 브로드컴등 글로벌 유수의 IT기업들이 IT기기 반도체 칩과 전장 산업에도 EMI 실드 공정을 도입하는 추세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열 압착 본딩 장비는 실리콘 웨이퍼에 칩을 적층 하는 초고속 메모리 생산에 필수적인 장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플립칩 본더 5.0은 생산성, 정밀도 등을 향상하며, 초소형 다이 핸들링 성능을 강화한 장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최근 한미반도체는 마이크로 쏘 장비를 국산화에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2021년 12월 ). 마이크로 쏘는 반도체 패키지를 절단하는 공정 장비이며, 기존 모델로는 구현할 수 없는 고객사의 세밀한 니즈에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향후 마이크로 쏘 장비 역시 한미반도체의 매출 상승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 경쟁력

한미 반도체는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반도체 생산장비를 설계, 제작, 조립, 검사, 테스트하는 턴키 방식의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글로벌 후공정기업들에게 공급하며 높은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력과 영업력, 그리고 시장 장악력 등은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한미반도체 주가 분석

 

한미반도체의 주가는 2022년 2월 17일 종가 기준으로 33,550원을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흐름은 2021년 4월 이후 박스권을 보여주며 횡보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의 장기 주가는 우상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10년간의 주가는 2013년부터(시가 2,712원) 현재까지 약 12배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한미반도체 재무분석

한미반도체의 시가총액은 1조 6,594억 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PER은 18.76배, PBR은 3.46배, ROE는 21.03%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 매출액(2016년~2020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우상 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2019년 변동폭이 큰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산업 특성상 전방산업의 영향을 받는 만큼 사이클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6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1,66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7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1,97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8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2,171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9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1,204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20년 한미반도체의 매출액은 2,574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한미반도체 영업이익(2016년~2020년)

한미반도체의 영업이익도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2019년 변동폭이 큰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률 역시 변동폭을 보여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은 20% 중반대를 일반적으로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상당히 매력적인 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6년 한미반도체의 영업이익은 386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7년 한미반도체의 영업이익은 517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8년 한미반도체의 영업이익은 401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9년 한미반도체의 영업이익은 137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20년 한미반도체의 영업이익은 666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한미반도체 배당금 

한미반도체의 배당금 역시 2019년 삭감되며 변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배당 액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16년 한미반도체의 배당금은 주당 2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17년 한미반도체의 배당금은 주당 24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18년 한미반도체의 배당금은 주당 25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19년 한미반도체의 배당금은 주당 1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20년 한미반도체의 배당금은 주당 4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4. 한미반도체 전망

한미반도체는 글로벌 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회사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산업이 성장으로 인한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PER을 생각해본다면 현재의 주가는 저평가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향후 4차 산업 등의 수혜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미반도체 실적 전망

2022년 2월 17일 기준 하나금융투자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미 반도체의 2022년 실적은 매출액 4291억 원, 영업이익 1,433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올해 대비 매출액은 15%가 증가, 영업이익은 17%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 목표주가
  • 한미반도체의 컨센서스 목표주가는 45,400원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2022년 1월 20일 기준 삼성증권에서는 한미반도체의 목표주가를 47,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 2022년 1월 20일 기준 케이프 투자증권에서는 한미반도체의 목표주가를 50,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11.11%)
  • 2022년 1월 20일 기준 이베스트 투자증권에서는 한미반도체의 목표주가를 41,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한미반도체 주가 전망

단기적으로 한미 반도체의 주가는 올해 파운드리 산업의 투자 증가로 수혜(후공정 업체 증설)를 직접적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반도체 공급난이 올해 해결될지에 대한 의문이 분명히 남아있기에 내년 역시도 파운드리 산업에서 더 큰 규모의 증설이 가능하기에 좋은 주가 흐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현재 주가를 PER관점에서 본다면 저평가되어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받게 된다면 더욱 좋은 주가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한미 반도체의 주가는 단기적인 흐름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주가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에서의 경쟁력으로 생각됩니다. 한미 반도체의 제품은 글로벌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제품 역시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 역시도 평균보다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이 기대가 됩니다. 또한 산업적으로 메타버스에 이어 AI(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의 산업이 성장하는 만큼 반도체 산업에서의 지속적인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서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한미반도체의 주가가 계속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시적인 조정과 악재 등의 소음은 발생할 수 있느냐 연간 실적 증가율이 10%를 상회하고 영업이익률이 20% 중반대를 보여주고, 글로벌적인 공급망을 가지고 있는 것은 한국 반도체 장비 공급사가 쉽게 갖출 수 없는 경쟁력으로 보입니다. 다만 향후 더 큰 발전을 위해서는 후공정뿐만이 아닌 전공정으로의 진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더욱 많은 제품 다변화 또는 ASML의 EUV 노광장비와 같은 프리미엄 필수 장비 등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글로벌적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반도체 장비 관련주, 후공정 관련주, 시스템 반도체 관련주, 비메모리 반도체 관련주, 후공정 장비 관련주인 한미반도체의 기업분석과 더불어 주가전망까지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