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산업의 시장이 2025년까지 연평균 32%라는 엄청난 성장률을 보여주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에 따라서 삼성전자 역시 조직개편을 통해서 로봇산업으로의 진출을 선언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삼성전자의 로봇 시장 진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로봇사업 진출
지난해 12월 삼성전자는 조직개편을 통해서 로봇 사업 태스크포스팀을 로봇사업 팀으로 격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며 향후 미래 신사업으로 로봇사업을 키워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미 이전 세계 최대 IT 박람회(CES)등을 통해 다양한 로봇 시제품을 공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2020 CES에서는 테니스 공 모양의 로봇인 볼리를 소개하며 기존 사람들이 머릿속에서 생각하던 로봇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로봇을 공개하여 충격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지속적으로 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로봇은 스마트폰, 생활 가전과 연결된 인간과 초밀접한 로봇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현재 2020에서 공개하였던 볼리 외에도 2019 CES에서 공개한 돌봄 로봇인 삼성 봇 케어, 2021 CES에서 공개한 집안일을 돕는 가정용 로봇인 삼성 봇 핸디, 쇼핑몰이나 음식점에서 주문, 결제 , 서빙을 돕는 삼성 봇 서빙, 고객 응대 로봇인 삼성 봇 가이드, 웨어러블 보행 보조로봇인 GEMS 역시도 보유하며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삼성의 삼성 봇
2022년 1월 삼성전자는 삼성 봇의 상표권을 최근 미국 특허청과 캐나다 특허청등에 등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삼성 봇에 대해 산업용 로봇은 물론, 외골격 로봇, 로봇 청소기, 가정용 조리기구, 휴머노이드(사람 형태의 로봇), 서빙 로봇 등에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 8월 로봇 사업을 회사의 미래 핵심 기술로 꼽았으며, 업계에서는 올해 삼성전자가 본격적으로 로봇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인수합병(M&A) 역시 관심을 두고 있어 기존 삼성전자와의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에 더욱 빨라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첫 상용화 로봇은 웨어러블 보행 로봇인 젬스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젬스는 로봇틱스(로봇 공학·기술·과학)를 기반으로 보행과 운동 기능을 증진하는 로봇으로 필요에 따라 고관절, 무릎, 발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젬스는 착용 부위에 따라서 젬스-힙(고관절), 젬스-니(무릎), 젬스-앵클(발목)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젬스 힙은 보행에 24% 힘을 보조하여 보행 속도를 14%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로봇 산업 시장 규모와 성장
로봇 시장의 규모는 2017년 기준 245억 달러(한화 약 26조 7천억 원) 수준이었으나 2025년까지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1,772억 달러(한화 약 193조 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가정용 로봇 시장의 규모(국제 로봇 협회 조사)는 2017년 20억 달러(약 2조 3800억 원) 규모였으나 올해 2022년에는 97억 달러(약 11조 5600억 원)로 매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내 로봇 시장
국내 로봇 산업에서 현재 기술력이 높다고 평가받는 기업은 LG전자와 현대자동차입니다.
- 현대 자동차
- 현대자동차는 1조 원에 미국의 보스턴 다이나믹스을 인수 하여 단번에 로봇 산업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가 인수한 보스턴 다이나믹스는 4족 보행 로봇인 스폿과 2족 직립보행 로봇인 아틀라스를 개발하였으며, 자율주행(보행), 로봇 팔, 인지, 판단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현대자동차는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로봇을 통해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로봇 개발, 제조, 물류 건설 분야에 적용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LG전자
- LG전자의 경우 2017년 SG로보틱스와 2018년 로보스타를 인수하였으며 현재 안내, 요리, 배달 등의 로봇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 LG전자의 대표적인 로봇으로는 병원과 호텔, 식당 등에서 물건을 스스로 배달하는 LG클로이 서브 로봇, 도슨트 기능이 탑재된 LG 클로이 가이드 봇, 비대면 방역 로봇인 LG 클로이 살균 봇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삼성전자의 로봇 사업 진출과 더불어 로봇 시장의 규모와 전망 그리고 경쟁사인 LG전자와 현대자동차의 로봇 사업 현황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삼성전자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메모리 수급 개선과 주가 전망 (0) | 2022.02.22 |
---|---|
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1위 도전과 현황 (0) | 2022.02.10 |
삼성전자 2021년 4분기 실적 발표와 2022년 전망 (0) | 2022.01.27 |
삼성전자 인수합병 후보와 전망 (0) | 2022.01.15 |
삼성전자 배당 (0) | 2021.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