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회사는 메타버스 관련주, 블록체인 관련주, NFT관련주로 뽑히고 있는 컴투스 홀딩스로 기업분석과 더불어 주식의 측면(주가 분석, 재무분석)에서도 분석을 해보며 투자 매력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기업분석
1998년 8월 7일 설립된 컴투스 홀딩스는 계열회사 등에 대한 투자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지주사업 및 투자 부문과 모바일 게임의 개발과 서비스 및 관련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게임부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업 지주사로서 모바일 게임 개발 및 공급을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중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독일 등의 현지에 법인을 두고 글로벌 적으로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및 주요 자회사는 모바일 게임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대표 게임으로는 피싱마스터, 몬스터 워로드, 별이 되어라, 크리티카: 혼돈의 서막, 크로매틱 소울, MLB퍼펙트 이닝 시리즈, 빛의 계승자, 탈리온, 엘룬, 게임빌 프로야구 슈퍼스타즈, 프로젝트 카스고, 아르카나 텍티스, 로엠, 아이모, 컴투스 프로야구 시리즈, 9이닝 시리즈, 홈런배틀, 이터널 소드 등이 있으며 주요 매출은 2021년 3분기 기준 모바일 게임 및 플랫폼 개발과 서비스 관련 사업에서 66.77%의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지주사업 및 투자 부문에서는 33.23%의 매출을 창출해 내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컴투스 홀딩스+ 게임빌)는 글로벌 모바일 통계 플랫폼이 앱애니에서 발표한 2020년 모바일 앱 퍼블리셔 순위(수익 기준)에서 글로벌 39위, 국내 4위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경쟁력을 증명하였으며, 게임빌 컴투스 플랫폼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및 메타버스 사업에도 진출하며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주가 분석
컴투스 홀딩스는 2022년 1월 3일 장중 241,500원을 기록한 이후 2022년 1월 8일 장중 155,600원을 기록하며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컴투스 홀딩스의 주가를 살펴보게 되면 2009년부터 2020년의 주가는 큰 변화가 없이 변동성만 큰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2021년 10월 이후 메타버스, NFT 등의 모멘텀을 통해 주가가 대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컴투스 홀딩스의 주가를 살펴보게 되면 2013년 12월 종가 기준 45,700원의 주가를 기록한 컴투스 홀딩스는 약 3.3배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재무분석
컴투스 홀딩스의 시가총액은 1조 638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1년 기준 PER은 43.30배, PBR은 3.36배, ROE는 8.29%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배당은 따로 지급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PER 기준으로 살펴보게 된다면 경쟁사인 크래프톤, 엔씨소프트보다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넷마블, 위메이드, 카카오 게임즈와 비슷한 PER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펄어비스와 비교하게 된다면 펄어비스의 절반 이하의 PER을 가지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매출액
컴투스 홀딩스 매출액 | |
2012년 | 703억원 |
2013년 | 812억원 |
2014년 | 1450억원 |
2015년 | 1523억원 |
2016년 | 1615억원 |
2017년 | 1064억원 |
2018년 | 1125억원 |
2019년 | 1199억원 |
2020년 | 1338억원 |
컴투스 홀딩스의 매출액은 2011년 428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2012년 703억 원, 2013년 812억 원, 2014년 1,450억 원, 2015년 1,523억 원, 2016년 1,615억 원, 2017년 1,064억 원, 2018년 1,125억 원, 2019년 1,199억 원, 2020년 1,338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에는 1,365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의 매출액은 2016년까지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성장했으나 2017년 크게 하락한 이후 아직까지도 2016년의 매출액을 따라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영업이익
컴투스 홀딩스 영업이익 | |
2012년 | 241억원 |
2013년 | 121억원 |
2014년 | 114억원 |
2015년 | 32억원 |
2016년 | 43억원 |
2017년 | -201억원 |
2018년 | -176억원 |
2019년 | -171억원 |
2020년 | 237억원 |
컴투스 홀딩스의 영업이익은 2011년 175억 원을 기록한 이후 2012년 241억 원, 2013년 121억 원, 2014년 114억 원, 2015년 32억 원, 2016년 43억 원, 2017년 -201억 원, 2018년 -176억 원, 2019년 -171억 원, 2020년 237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에는 352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의 영업이익은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결과론 적으로 상향된 영업이익을 보여주고 있지만 안정적이지 않은 일시적인 영업이익이 될 가능성도 있기에 의미를 부여하기는 이르다고 판단되고 있습니다.
●컴투스 홀딩스 목표주가
컴투스 홀딩스의 컨센서스 목표주가는 184,000원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베스트 투자증권 역시도 184,000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결론
최근 컴투스 홀딩스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컴투 버스 월드를 공개하는 것을 시작으로 P2E, NFT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주가 역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재 컴투스가 보유하고 있는 게임이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큰 임팩트의 대작 게임의 부재(경쟁사 대비)는 컴투스 홀딩스가 해결해야 될 문제로 보이며 안정적이지 못한 재무지표, 경쟁사 대비 높은 PER 등은 다른 경쟁사 대비 투자의 매력도는 떨어진다고 생각되네요.
따라서 꼭 컴투스 홀딩스를 매수하시길 원하신다면 길게 보시고 주가의 하락 시에 조금씩 매수하시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항상 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종목 추천이 아님을 알려드리며 투자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다시 한번 알려드립니다.
지금까지 컴투스 홀딩스 주식에 대한 기업분석과 주가 분석 그리고 재무분석까지 살펴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젠 주식분석(기업분석, 주가분석) (0) | 2022.01.19 |
---|---|
지아이텍주식분석(기업분석, 주가분석) (0) | 2022.01.19 |
위메이드 기업분석과 주가분석 (0) | 2022.01.18 |
펄어비스 기업분석과 주가분석 (0) | 2022.01.17 |
메드팩토 기업분석과 주가분석 (0) | 2022.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