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공부

글로벌 AI반도체 대장주, 관련주

by 돌담아빠 2021. 8.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4차산업으로 인해 저전력, 고효율,초소화 반도체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으며 AI 반도체에 대한 글로벌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AI 반도체의 대장주와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AI반도체 대장주

현재 AI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앞서 나가는 기업들은 단연코 반도체의 왕국인 미국의 펩리스 기업인 엔비디아, AMD, 인텔, 퀄컴 등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들은 이미 AI반도체를 개발하여 출시하기도 하며 이미 시장을 선점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
    • AI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앞서고 있다고 평가받는 기업은 단연코 엔비디아 입니다. 엔비디아는 현재 GPU시장에서는 독점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가장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 엔비디아는 AI반도체에서도 GPU 기반의 반도체를 개발하며 자신들의 장점을 살려 시장을 선점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는 GPU분야에서 AI 반도체인 엔비디아 A100GPU(암페어 아키텍처 기반)를 공개하였으며 NDA100V4VM(가상머신)시리즈를 출시하였습니다.
    • CPU 분야에서는 그레이스를 출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자율주행분야에서는 자동차용 AI 프로세서인 아틀란을 공개하였습니다.
    • ASIC분야에서는 자율주행용 AI반도체인 자비에를 공개하였습니다.
  • AMD
    • AMD는 자일링스를 인수 합병하며 FPGA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AMD의 AI반도체인 자일링스 버택스 시리즈는 경쟁사인 인텔의 에질렉스 시리즈를 넘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GPU분야에서는 HPC용 GPU인 인스팅트 MI100을 발표하였습니다.
    • CPU 분야에서는 7 나노 공정 기반의 서버용 CPU인 3세대 에픽 밀란 7003 시리즈를 공개하였습니다.
  • 인텔
    • 인텔 역시도 예전의 반도체의 왕자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AI 반도체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5G, AI,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능을 개선하는 서버용 CPU인 3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시리즈를 공개하였습니다.
    • AI ASIC분야에서는 하바나를 공개하였습니다.
    • 또한 인텔은 파운드리 산업으로의 진출을 통해 향후 자사의 AI반도체를 직접 생산할것으로 보이며 타사의 AI반도체 생산까지 가능할것으로 생각됩니다. 
  • 퀄컴
    •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강자인 퀄컴은 자신들의 강점을 살려 모바일 AP에 AI 기술을 적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AP 시장에서는 AI 반도체인 스냅드래곤865+를 공개하였습니다.
    • CPU 시장에서도 서버용 고성능 AI 추론 가속기 클라우드 AI100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개발 역시도 힘쓰고 있습니다.

 


AI반도체 관련주

AI 반도체 관련주에서는 AI ASIC분야, 뉴모로픽 분야, 파운드리 분야로 나누어서 다양한 관련주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AI ASIC분야
    • AI ASIC분야에서는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간의 경쟁이 심화되며 AI산업에서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치열한 경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우선 AI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기업은 단연코 구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AI 반도체는 자사의 딥러닝 프레임워크 턴 서플 로우를 지원하는 서버용 TPU를 공개하였으며 현재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4세대 모델까지 출시하였습니다.
      • 마이크로 소프트는 현실세계와 증강현실 데이터를 통합 처리할 수 있는 AI반도체인 HPU를 개발하였으며 현재 홀로렌즈에 탑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테슬라의 경우에는 오토파일럿에 쓰이는 AI 반도체인 D1을 직접 개발하기로 발표하였으며 D1은 테슬라의 슈퍼컴퓨터인 도조컴퓨터에 탑재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애플의 경우에는 ARM 아키텍처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온칩인 M1을 출시하였으며 M1의 CPU, GPU, NPU는 모두 애플이 자체 설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이 외에도 IBM 파워 10, 화웨이 기린990, 바이두 쿤룬 등 많은 기업들이 설계한 AI ASIC제품이 있습니다.
  • 뉴모로픽 분야
    • 뉴모로픽 분야는 아직 시장이 형성되지 않고 있어 시장을 선점한 기업은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 현재 뉴로모픽 분야에서는 IBM이 트루노스와 블루 레이븐을 출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텔이 로이히를 출시, 퀄컴이 제로스를 출시하며 경쟁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역시도 뉴모로픽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아직까지는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파운드리 분야
    • 반도체 산업 특성상 AI 반도체를 설계하는 펩리스 업체 뿐만이 아니라 파운드리 산업 역시도 AI반도체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AI반도체는 첨단 기술이 들어가는 만큼 고성능, 저전력, 고효율 반도체가 생산될것으로 보이며 초미세공정으로 생산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현재 초미세공정이 가능한 TSMC와 삼성전자가 큰 수혜를 받을것으로 보이며 향후 인텔이 파운드리 산업으로 들어오게 된다면 인텔 역시도 AI반도체 생산을 통해 큰 수혜를 받을것으로 생각됩니다. 
  • 반도체 장비분야
    • 앞서 언급한 대로 AI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초미세 공정이 필수적으로 사용될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EUV노광장비를 생산하고 있는 ASML 역시도 큰 수혜를 볼것으로 보이며 ASML의 EUV장비는 AI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제품이 될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의 AI반도체

현재 국내 업체들은 AI 반도체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자신들이 잘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여 시스템반도체와 메모리를 통합한 PIM 분야를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향후 PIM 시장을 통해서 간접적인 수혜를 얻을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 삼성전자는 이미 고대역 폭 메모리(HBM)와 AI 처리기를 결합한 HBM-PIM을 개발한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SK하이닉스는 PIM의 일종인 AIM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AI 반도체와 시장규모 그리고 국내 AI 반도체 시장

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반도체 시장에서 AI반도체를 선점하기 위한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이번 시간에는 AI반도체의 의미와 관련 시장 그리고 개발 상황 등에 대

edg000.tistory.com

AI 반도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AI반도체는 이제 시작 단계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현재 반도체 강자들에 의해 재편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우량주 투자 또는 ETF(SOXX) 투자가 안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금까지 AI반도체 대장주,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