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 케미칼은 리튬이온 전지용 소재,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QD,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전구체를 생산하며 이차전지 관련주, QLED관련주, 비메모리 관련주로 분류되는 기업으로 이번 시간에는 한솔 케미칼의 기업분석과 향후 전망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솔 케미칼 기업분석
1980년 3월 13일 설립된 한솔 케미칼은 라텍스, 과산화수소, 고분자 응집제(PAM), 차아 황산소다, 전구체(precursor), 전자재료, 이차전지재료, 기타 화공약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매출 비중은 정밀 화학제품이 35.4%, 제지/환경제품이 21.3%, 전자 및 2차 전지 소재 제품이 37.3%, 기타 제품이 0.7%, 상품이 4.5%, 용역 및 기타가 0.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솔 케미칼의 주요 매출처로는 삼영순화, 한솔제지, 삼성 SDI, 미래나노텍, 글로텍 등이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인 테이팩스는 2 차 전지용 테이프, 디스플레이용 테이프/필름, 반도체용 테이프, 식품포장용 랩을 생산하고 있으며, 매출 비중은 전자재료가 54.7%, 유니랩이 23.9%, 상품 합계가 21.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테이팩스는 삼성 SDC, 삼성 SDI, LG에너지 솔루션, 무라타, SK이노베이션, 이마트, 농협, 스타벅스 등이 있습니다.
비메모리 관련주인 한솔 케미칼은 반도체 산업과 관련하여 반도체 공정에서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구체(precurso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구체(precursor)는 초미세화 및 3차원 구조의 증가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솔 케미칼은 디스플레이 전구체, 태양광 전구체 등을 연구 개발하며 사업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솔 케미칼은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레진 및 QD를 생산하며 QD 디스플레이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으며 전자 업체 간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경쟁으로 소재 변화를 통해 기술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전자재료 제품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고객사와의 공동개발 등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시장 확대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는 흑연과 동박에 접착력을 구현하는 음극 바인더를 비롯하여, 고내열 분리막용 바인더 및 차세대 고용량 실리콘 음극재 등 다양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성능 이차전지의 향상을 위해 신소재에 대한 중요도가 커짐에 따라서 한솔 케미칼의 경쟁력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솔 케미칼 주가 분석
한솔 케미칼의 주가는 2022년 2월 9일 종가 기준 227,500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주가 흐름은 2021년 9월 27일 장중 392,000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솔 케미칼의 장기 주가 흐름은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10년의 주가 흐름은 2013년(시가 24,000원)부터 현재까지 약 9배가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솔 케미칼 재무 분석
한솔 케미칼의 시가총액은 2조 5,788억 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PER은 18.08배, PBR은 3.72배, ROE는 25.2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한솔 케미칼 매출액
- 한솔 케미칼의 2016년 매출액은 4,604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2017년 5,216억 원, 2018년 5,819억 원, 2019년 5,443억 원, 2020년 6,193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한솔 케미칼의 매출액은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한솔 케미칼 매출액 2016년 4,604억원 2017년 5,216억원 2018년 5,819억원 2019년 5,443억원 2020년 6,193억원
- 한솔 케미칼 영업이익
- 한솔 케미칼의 2016년 영업이익은 821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2017년에는 792억 원, 2018년 936억 원, 2019년 1,112억 원, 2020년 1,519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한솔 케미칼의 영업이익은 매출액보다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승폭도 큰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특히 영업이익률 측면에서 한솔 케미칼은 2016년 17.84%, 2017년 15.17%, 2018년 16.08%, 2019년 20.42%, 2020년 24.53%를 기록하며 높은 영업이익률을 보여주고 있어 투자 매리트가 높은 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한솔 케미칼 영업이익 2016년 821억원 2017년 792억원 2018년 936억원 2019년 1,112억원 2020년 1,519억원
- 한솔 케미칼 배당
- 한솔 케미칼의 배당금은 2016년에는 주당 1,000원을 지급하였으며, 2017년 1,000원, 2018년 1,200원 2019년 1,500원, 2020년 1,8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한솔 케미칼의 배당은 2016년 이후 삭감된 적 없이 유지 및 상승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한솔 케미칼 배당금 2016년 1,000원 2017년 1,000원 2018년 1,200원 2019년 1,500원 2020년 1,800원
한솔 케미칼 전망
작년 글로벌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하여 한솔 케미칼 역시도 수익성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원자재값 상승은 올해 1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하반기부터는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서 올해 하반기에는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받아 주가 역시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는 이차전지 산업에서도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서 이차전지 소재의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실적과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이차전지 모멘텀, QD 디스플레이 모멘텀, 비메모리 반도체 모멘텀을 받아 주가는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실적 역시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한솔 케미칼 목표주가
- 한솔 케미칼의 컨센서스 목표주가는 376,667원이 제시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24일 기준 KB증권에서는 390,000원이 제시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9일 기준 키움 증권에서는 340,000원이 제시되었습니다.
한솔 케미칼은 향후 생산 능력 증가와 특히 이차전지 산업에서는 해외 공장의 증설이 분명히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경쟁력 향상과 고객처 확대 역시도 분명히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이차전지 관련주, 음극재 관련주, QD 디스플레이 관련주, 비메모리 반도체 관련주인 한솔 케미칼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후공정 관련주 및 2차전지 관련주 엠케이전자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11 |
---|---|
이차전지 관련주 나노신소재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10 |
2차전지 관련주 엔켐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10 |
자율주행 관련주 만도 2021년 실적 발표와 전망 (0) | 2022.02.09 |
메타버스 관련주 카카오 게임즈 2021실적 발표와 전망 (0) | 2022.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