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뉴스

이차전지 관련주 SKC 2021년 실적 발표와 전망

by 돌담아빠 2022. 2. 8.
반응형

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이차전지 관련주이자 글로벌 동박 업체 탑 티어인 SKC가 실적 발표를 통해 2021년 매출 3조 3961억 원, 영업이익 4645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SKC의 실적 발표 내용과 더불어 향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목차

  1. SKC 2021년 실적 발표
  2. SKC 2022년 실적 전망
  3. SKC 주가 전망

1. SKC 2021년 실적 발표

 

글로벌 동박 생산 기업 탑티어인 SKC가 2월 8일 실적 발표를 했습니다. SKC는 2021년 매출은 3조 3천961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4천645억 원을 기록하였다고 발표하였으며 전년(2020년) 대비 매출은 38%, 영업이익은 무려 13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C는 지난해 사업 모델 혁신을 통해 모든 사업 부문에서 성장을 이뤄냈다고 밝혔으며 실제로 세계 1위 이차전지용 동박 사업을 증설하였으며,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고부가, 친환경 제품의 신소재 사업도 시작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MSCI ESG 등급은 BB로 상향되었으며 KCGS 종합등급은 A로 상향되며 ESG 평가 등급이 개선되었습니다. 

 

  • 사업부별 실적 
    • SK 넥실리스(동박 사업 투자사)
      • 매출 6천632억 원, 영업이익 795억 원 기록하였습니다. 
      • 매출은 지난해 대비 79%가 성장하였으며 영업이익은 50%가 증가하였습니다. 
      • 5 공장의 가동이 시작되며 생산량이 증가하였습니다.
      • 올해 6 공장이 가동을 시작하면 실적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2023년에 말레이시아 공장을 가동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2024년에는 폴란드 공장이 가동될 것으로 계획되고 있습니다. 
    • SK피아이씨 글로벌(화학 사업)
      • 매출 1조 1천21억 원, 영업이익 3,322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지난해 대비 매출은 57%가 성장하였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277%가 성장하였습니다. 
      • 고부가 가치인 프로필렌글리콜(PG)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전략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였습니다. 
      • 업황도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인더스트리 소재 사업부문
      • 매출 1조 1,319억 원, 영업이익 690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반도체 소재 사업
      • 매출 4,846억 원, 영업이익 221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분기부터는 분기마다 사상 최대 매출을 경신하였습니다. 
      • CMP 패드 천안공장이 상업 가동을 시작하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였습니다. 
      • 세라믹 부품 수요가 견조하게 이어졌습니다. 
    • SKC 배당
      • SKC의 2021년 배당금은 1주당 1,100원을 지급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 전년 대비 배당 성장은 10%가 이루어졌습니다.

 

2. SKC 2022년 실적 전망

2022년 SKC는 2차 전지 및 반도체, 친환경 소재 등 친환경 사업 모델의 주력 사업화를 개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투자와 글로벌 확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2022년 실적 계획 매출 3조 8000억~4조 원을 계획하였습니다.
  • 영업이익 4500억~5000억 원을 계획하였습니다.
  • 동박 사업에서는 올해 6 공장 가동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화학 사업에서는 고부가 PG 중심의 대형 고객사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계획되고 있습니다. 
  • 인더스트리 소재사업에서는 디스플레이 대형화 추세 등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으며, 신소재 생분해 라이멕스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 반도체 소재 사업은 CMP 패드 고객사의 확대와 블랭마스크 상업화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3. SKC 주가 전망

SKC의 영업이익률은 2020년에는 7.06%, 2019년에는 5.91%, 2018년에는 7.26%를 기록하며 경쟁사인 일진 머티리얼의 영업이익률(2018년 9.71%, 2019년 8.52%, 2020년 9.47%) 보다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제조업 평균치인 약 8%에 근접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익 측면에서 높은 메리트는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다양한 산업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기에 실적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고부가 가치 중심으로 사업을 개편하고 있기에 향후 실적 개선을 기대해봐도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주가 상승 모멘텀
    • 실적 개선
    • 공장 가동으로 인한 생산성 증가 
    •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안정화
    • 각국의 친환경 정책 강화
    • ESG 평가 상향 및 글로벌 평가인증
    • 고부가 산업들의 경쟁력 상승
    • 고객사 추가 확보
    • 신사업 상용화 및 경쟁력 확보 등
  • SKC 목표주가
    • SKC의 컨센서스 목표주가는 135,000원이 제시되었습니다. 
    • 한국투자는 2021년 12월 3일 기준 125,000원을 제시하였습니다.
    • BNK투자는 2021년 11월 17일 기준 150,000원을 제시하였습니다. 
    • 삼성증권은 2021년 11월 16일 기준 128,000원을 제시하였습니다. 
    • 하나금융투자 2021년 11월 16일 기준 137,000원을 제시하였습니다. 

SKC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이차전지 관련주 SKC 기업분석과 전망

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이번에 살펴볼 기업은 이차전지 관련주로, 전기차 산업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될수록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1위 동박 업체인 SKC로 기업분석과 더불어

edg000.tistory.com

 

SKC는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함과 동시에 글로벌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향후 엄청난 성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이차전지 동박사업에서는 중국계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계 기업인 CATL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면 향후 시장이 성장할수록 매출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되기에 향후 높은 매출 성장성을 보여줄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SKC의 2021년 실적 발표와 더불어 2022년 전망, 주가 전망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