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뉴스

HMM (현대상선)2022년 실적 전망

by 돌담아빠 2022. 1. 31.
반응형

코로나로 인해 글로벌 소비 폭증으로 올해 역대급 상승을 기록한 해상운임이 오미크론의 여파로 다시 운임 상승을 촉진시키며 HMM의 2021 실적뿐만 아니라 2022년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HMM의 실적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HMM(현대상선) 2021년 4분기 실적 전망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지속된 물류 대란의 여파가 아직도 지속됨에 따라서 HMM의 2021년 4분기 실적도 역대 최대치를 갱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금융 정보 제공 업체인 에프앤가이드의 조사에 따르면 HMM의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평균 2조 1746억 원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3개월 전 추정치인 1조 5819억 원에 대비하면 6000억 원 이상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상하이 항운 거래소 SCFI에 따르면 1월 14일 기준 상하이 운임지수는 5094.36으로 지난주 519.6보다는 15.24포인트 하락하였지만 지난해 12월 31일 5000을 돌파한 이후 3주 연속 5000대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대신증권의 전망에 따르면 HMM의 4분기 영업이익은 2조 5713억 원을 예측하였습니다.
  • 이에 따라 HMM의 4분기 매출은 사상 최대 매출이 확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미주 항만 내 정체현상이 크리스마스 특수로 전년 대비 +62.6% 심화되며 고 운임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HMM(현대상선) 2022년 실적 전망

 

메리츠증권은 2022년 HMM의 영업이익은 +33.8% 성장하며 10.2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대신 증권에 따르면 장기계약 비중이 높은 계약 특성으로 2022년 운송할 계약물량의 운임을 선제적으로 확보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실적이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 해양 수산 개발원(KMI)은 지난해 말 개최한 세계 해운 전망 세미나에서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세는 금리 인상과 재정 지출 축소로 지난해 대비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오미크론 감염으로 인한 재 봉쇄 가능성, 미국의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로 인한 물가 안정을 위한 경제정책들은 컨테이너 물량 수요 증가에 부정적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올해 하반기부터는 컨테이너 움임이 안정화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공급망 회복의 지연과 탄소 배출 규제 실시로 인한 공급 조정이 운임 안정화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HMM(현대상선)전망

 

올해 2분기부터 운임의 하향 조정으로 인하여 HMM은 올해부터 중, 장기 사업 계획을 확보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배재훈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중장기 사업 계획에 따른 선대 확보, 원가 경쟁력을 갖춘 벌크 본부의 선대 구축, 물류, 정보기술 역량 강화를 통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제시하며 중장기 로드맵을 구체화할 것을 밝혔습니다.

 

  • HMM목표주가 
    • 메리츠증권은 1월 27일 HMM의 목표주가를 3만 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지금까지 HMM의 2021년 4분기 실적전망과 2022년 실적전망, 그리고 중장기 전망까지 살펴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