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기업분석

반도체 후공정 관련주 디아이 기업분석과 전망

by 돌담아빠 2022. 2. 23.
반응형

디아이는 후공정 반도체 장비를 개발, 판매하는 기업으로 향후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하여 반도체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서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디아이에 대한 기업분석과 더불어 전망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목차

1. 디아이 기업분석
2. 디아이 주가 분석
3. 디아이 재무분석
4. 디아이 전망

1. 디아이 기업분석

디아이는 후공정에 필요한 반도체 검사장비 업체로 번인 공정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아이는 후공정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DDR5관련주로도 분류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산업

반도체 장비는 전공정, 후공정 및 검사장비로 구분되며 각 공정별 투자비중은 실리콘 웨이퍼를 가공하여 칩을 만드는 전공정 장비가 약 70%를 차지하며, 칩에 리드선을 붙이고 패키징 하는 후공정장비가 약 10%, 공정별로 각 단계마다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비 등이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 시장 규모와 성장률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규모는 2021년 기준 1,000억 달러(한화 약 119조 4,800억 원)를 돌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22년에는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1,243억 달러(한화 약 148조 5,136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분야별로는 전공정 장비의 올해 시장 규모는 1,079억 달러(한화 약 128조 9,081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으며, 후공정 장비 시장의 규모는 테스트 장비 시장이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 9,220억 원), 패키징 장비 시장이 64억 달러(한화 약 7조 6,474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디아이 주요 사업

디아이의 주요 사업은 반도체 검사장비 제조 및 판매 등의 반도체 장비 사업부문 외에도 전자파 차폐체(EMC)등을 제조하는 전자부품 사업부문, 수처리 관련 환경사업 부문, 음향, 영상기기 사업부문, 2차 전지 장비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디아이의 주요 제품은 반도체 검사장비인 번-인 테스트와 반도체 검사보드인 번-인 보드이며, 이 둘의 매출 비중은 약 9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디아이 주요 고객

디아이의 주력제품인 번-인 테스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독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디아이 경쟁력

디아이의 반도체 장비 사업부문중 번-인 보드의 경우 2021년 3분기 국내 시장점유율 60%를 차지하여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파 장애 방지용 부품의 경우 역시도 국내 시장에서도 상위권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디아이 신규사업

디아이의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디아이 브이는 AI 딥러닝 기술력을 기반으로 2차 전지 머신 비전 검사장비를 글로벌 탑 티어 EV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향후 2차 전지 사업이 지속적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에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디아이 최근 이슈

디아이는 최근 가수 싸이의 회사인 피엔 뮤직에 100억 원을 투자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디아이의 회장인 박원호 회장은 가수 싸이(본명 박재상)의 아버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 디아이 주가 분석

디아이의 주가는 2월 23일 기준 7,800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주가 흐름은 2022년 1월 25일 이후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디아이의 주가 흐름은 변동성이 매우 큰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0년 4월 이후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2013년 기록하였던 15,100원을 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디아이 재무 분석

디아이의 시가총액은 2,457억 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PER은 27.59배를 기록하고 있으며, PBR은 0.95배, ROE는 4.1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 디아이의 PER은 93.05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 디아이의 PBR은 1.19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 디아이의 ROE는 6.6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 디아이의 EPS 성장률은 127.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 디아이의 BPS 성장률은 4.9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디아이 매출액

디아이의 매출액은 업종 특성상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매출액의 안정화를 위해서 사업 포트폴리오의 다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16년 디아이의 매출액은 1,097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7년 디아이의 매출액은 1,522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8년 디아이의 매출액은 1,960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9년 디아이의 매출액은 1,054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20년 디아이의 매출액은 1,623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디아이 영업이익

디아이의 영업이익은 매출액과 마찬가지로 전방 산업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변동성이 매우 큰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률의 경우 변동성이 매우 크며, 영업이익률이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6년 영업이익률 5%, 2017년 영업이익률 7.57%, 2018년 영업이익률 10.98%, 2019년 영업이익률 -5.97%, 2020년 영업이익률 3.4%)

  • 2016년 디아이의 영업이익은 55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7년 디아이의 영업이익은 115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8년 디아이의 영업이익은 215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9년 디아이의 영업이익은 -65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20년 디아이의 영업이익은 55억 원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디아이 배당금

디아이의 배당금은 변동성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2016년부터는 중단된 적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16년 디아이의 주당 배당금은 5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17년 디아이의 주당 배당금은 1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18년 디아이의 주당 배당금은 5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119년 디아이의 주당 배당금은 5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2020년 디아이의 주당 배당금은 1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디아이의 주력제품들은 전방산업인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영업이익률 역시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배당은 2016년 이후 중단된 적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플러스 요인으로 생각됩니다.

201085

4. 디아이 전망

향후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하여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모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디아이의 성장 역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디아이 주가 전망

디아이의 단기적인 주가는 올해 DDR5 전환으로 인하여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올해 실적과 주가 모두 기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최근 중국의 쑤저우 법인과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향후 중화권 매출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도 보이네요.

 

디아이의 장기적인 주가는 크게 우상향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드네요. DDR5로의 전환이 몇 년간 지속될 수는 있으나, 전방산업의 영향을 받는 만큼 향후 사이클상 하락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제한적인 성장과 변동적인 영업이익은 주가와 실적의 성장을 제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디아이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향후 포트폴리오의 다변화와 함께 제품의 다변화, 고객사의 다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최근 2차 전지 머신 비전 검사장비로 사업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성장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실체가 보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하여 AI, 자율주행, 클라우드 등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반도체 산업 전반적으로 성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디아이 역시 이러한 수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나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장성을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사항이 있어 보입니다. 지금까지 반도체 후공정 관련주, DDR5 관련주 디아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