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이차전지 관련주이자 소재 기업인 포스코 케미칼이 배터리 양극재 사업과 음극재 사업 등에서의 호조로 2021년 2조 원에 가까운 매출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함에 따라서 오늘은 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포스코 케미칼 실적
이차전지 관련주이자 소재 기업인 포스코 케미칼이 실적 발표(1월 26일)를 통해 지난해 매출이 1조 9,895억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1,217억 원을 기록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포스코 케미컬의 발표에 따르면 매출은 전년 대비 27%가 늘어난 금액이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1.9%나 상승한 금액으로 밝혀졌습니다.
- 실적 증가 원인
- 에너지 소재 부문의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 켈 양극재의 판매량 증가
- 원재료 가격 상승분이 판매가에 반영되어 매출이 증가되었습니다.
- 사업부별 실적
- 에너지 소재 부문
- 에너지 소재 부문 매출액 8,518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2019년 대비 양극재, 음극재 매출은 289%가 상승하였습니다.
- 전체 사업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14.8%에서 42.8%로 증가하며 이차전지 소재 기업으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라임케미칼 부문
- 라임 케미칼 부문은 매출액 6,75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전년대비 16.4%가 성장하였습니다.
- 내화물 사업 부문
- 4,625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에너지 소재 부문
- 포스코 케미칼 배당
- 1월 26일 포스코 케미칼의 공시에 따르면 2021년 배당금은 1주당 300원이며, 배당 기준일은 2021년 12월 31일 입니다.
포스코 케미칼 전망
포스코 케미칼의 방침은 양산능력을 확대하고 연구개발(R&D)을 통해 업계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2022년 5월 포스코 케미컬은 세계 최대 연 9만 톤의 양극재 공장을 준공할 예정이며, 북미와 중국, 포항에 양극재 공장을 신설, 증설하여 글로벌 양산 거점 구축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음극재의 경우 전기차용 저 팽창 천연 흑연 생산 설비를 증설하고 인조 흑연 음극재 생산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올해 예상 생산규모
- 양극재 연 10만 5천 톤
- 음극재 연 8만 4천 톤
또한 국내에서 음극재 생산을 유일하게 진행하고 있는 독보적인 기업이기 때문에 증설로 인한 효과는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포스코 케미칼 향후 계획
- 고객 맞춤형 기술 개발
- 정부 인증 획득 속도 개선
- 하이 니켈 단입자 양극재 개발
- 코발트 프리 양극재 개발
- 저가 원료를 활용한 인조 흑연 음극재 개발
- 원가경쟁력 강화(공정기술 개선)
- 포스코 케미칼 주가 전망
- 포스코 케미칼의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의 매출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서 이전보다 더욱 높은 이차전지 모멘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중, 장기 적으로도 높은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 반면 PER(2021년 9월 기준)이 62.26배로 조금은 높은 면을 보여주지만 장기적으로 전기차 전환으로 인한 수요의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글로벌적으로 공장을 증설한 삼성 SDI, LG에너지 솔루션, 삼성 SDI 모두에게 소재를 공급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하며 주가 역시도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 포스코 케미칼 목표주가
- 포스코 케미칼의 컨센서스 목표주가는 172,917원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1월 27일 기준 교보증권은 170,000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1월 27일 기준 하나금융투자는 165,000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포스코 케미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이차전지 관련주 포스코케미칼 기업분석과 전망
안녕하세요 돌담 아빠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기업은 향후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이차전지 관련주인 포스코 케미칼로 기업분석과 더불어
edg000.tistory.com
포스코 케미칼은 올해를 기점으로 이차전지 소재 기업으로서의 모습을 확실하게 보여주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따라서 향후 이차전지 소재에 대한 투자와 기술개발이 본격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보이며 매출 비중의 확대로 인하여 성장성 역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적으로 공장을 증설하고 있어 향후 생산능력의 증가는 곧바로 수익으로 직결될 것으로 보이며 이차전지 소재 기업 내에서 경쟁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포스코 케미칼의 실적 발표와 향후 전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전지 관련주 SKC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08 |
---|---|
폴더블폰 관련주 비에이치 2021년 실적과 전망 (0) | 2022.02.07 |
이차전지 관련주 포스코케미칼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07 |
폴더블폰 관련주, 애플 수혜주 비에이치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07 |
OLED 관련주, 2차전지 관련주 솔루스 첨단소재 기업분석과 전망 (0) | 2022.02.06 |
댓글